존 듀이는 교육학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들어보지 않을 수가 없는 미국의 교육학자입니다.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철학자이기도 합니다. '근대 교육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으로 불립니다. 단순 지식 주입 교육을 비판하며 교사와 학생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으로 학생들이 가르침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굉장한 양의 저서를 발간하고 사회 운동을 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생애
듀이는 미국에서 태어났습니다. 버몬트 대학과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였습니다. 이후 교수로서 미시간 대학과 시카고 대학에서 일했습니다. 교수로 일하는 동시에 철학, 심리학, 교육학 연구소의 연구소장으로서 일하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학자가 되었습니다. '듀이 스쿨'이라는 실험학교를 세움으로써 듀이는 교육 공학적 실험과 시도를 많이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의 실험 결과들은 그가 수많은 논문과 저서를 내는 데에 도움을 줬습니다. 그는 93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무려 700편 이상의 논문을 낸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 연구들을 통해 현대 철학과 교육학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사상
그의 대표적인 철학적 사상은 바로 도구주의입니다. 인간이 이룩해낸 학문적 성과나 지식들은 모두 인간이 살아남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만들어낸 도구라는 입장입니다. 인간은 외부 환경과 만나면서 수많은 '경험'들을 마주합니다. 경험이 가져오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구가 필요한데 그것이 인간의 사고와 지식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경험을 하고 그를 통해 문제를 만나면 사고하고 지식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탐구'라고 합니다. 듀이는 탐구가 5가지 단계로 나아간다고 주장합니다. 먼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음가짐을 가지는 제안 단계, 둘째로 문제를 명확히 하는 지성화 단계. 셋째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는 가설 단계. 넷째로, 지식과 사고를 구성하고 체계화하는 추론 단계. 마지막으로 다시 경험을 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는 검증 단계입니다. 듀이는 이것을 교육에서 똑같이 적용합니다. 계속된 경험으로 피교육자들은 상황과 지식을 구성합니다. 상호작용적 구성주의라는 개념으로도 언급되고는 합니다. 듀이의 사상에서 민주주의의 개념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본글에서는 교육적 사상에만 집중하므로 넘어가겠습니다.
영향
듀이의 사상은 현대 교육학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의 이론은 현재 많은 나라의 교육과정 구성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입니다. 특히 현대의 놀이중심 교육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어린이들이 놀이를 하며 경험하고 이어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것이 그가 주장한 구성주의적 교육이론에 부합합니다. 외부 환경을 탐구하는 학습인 것입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치원 교육과정 누리과정의 탄생과 요구 역량 (0) | 2022.12.17 |
---|---|
유치원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0) | 2022.12.17 |
교육학자 - 헤르바르트 (0) | 2022.12.17 |
교육학자 - 페스탈로치 (0) | 2022.12.17 |
교육학의 연구 대상 2편 (0)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