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10 현 유아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내실화 방안 현 유아교육 제도에서의 부족한 측면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내실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해 보았습니다. 시스템 부실 현재 유아교육은 학제 체제가 초등학교 체제에 비해 상당히 부실합니다. 필수교육으로써 탄탄히 체제가 잡혀 있는 초등학교는 모든 아이들이 다녀야 하는 만큼 입학통지서가 송부되고 지자체 차원에서 아이들의 입학을 관리하는 반면 유아교육은 아이에게 시키지 않는 가정도 많고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체제가 섞여 있어 같은 나이의 아이들이라도 그 교육을 받은 상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교육의 기본 학제 및 공교육 체제가 확립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부처는 여성가족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아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교육부와 무관하.. 2022. 12. 17. 누리과정에서 중시하는 '놀이'에 대한 분석 현재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 항목들과 놀이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제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 중심, 놀이 중심 교육과정'으로써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유아 교육을 받는 유아가 중심이 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지만, 유아만큼이나 '놀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표현하고 있는 슬로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누리과정을 집필한 연구자들이 놀이에 대해 아주 깊게 생각하고 그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관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가 배움이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원천이며, 그것이 곧 최고의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유아 나이대에서 배움이 일어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2022. 12. 17. 유치원 교육과정 누리과정의 탄생과 요구 역량 누리과정의 개발 누리과정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어린이집 교육에 해당하는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 교육에 해당하는 유치원 교육과정이 분리되어, 같은 나이에 해당하는 아이들도 다른 기관에 속함으로써 전혀 다른 교육과 관리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통념 상 어린이들은 어린이집에 다니다가 유치원에 가고 초등학교에 가는 것이 일반적이나, 많은 아이들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중 하나 혹은 모두를 생략하기도 한다. 나조차도 유치원에 다니지 않았다. 유치원에 갈 나이에 해당하더라도 어린이집에 다니곤 하는 아이들도 많은데, 두 기관의 교육과정이 다르기에 다른 교육을 받아왔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고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한다. 결국 2011년에 이르러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가 '누리과정'을 제정하여 고시하였.. 2022. 12. 17. 유치원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통합'이라는 개념은 부분을 연결시켜 전체를 만드는 일, 이질적인 것들을 하나의 체제 속에 연결, 융합시키는 일로 정의됩니다. 유치원의 창시자인 프뢰벨은 그의 저서 '인간교육'에서 신과 자연과 인간의 통일성을 주창함으로써 유아교육과정에 통합의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그가 말하는 통일성의 개념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서 설명되는데, 각 개인은 그가 속한 전체 속에서 존재하며 그 전체를 반영합니다. 그는 이런 통합의 개념을 유아교육 과정 실제에 그대로 반영하려고 하였습니다. 통합 교육과정의 이해 곽병선(1983)에 따르면, 통합적 교육과정은 교과목의 구분이 전혀 없는 완전히 단일화된 교육과정으로서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각 교과 혹은 지식의 체제에 따라 분열된 분절 교과 중심으로 학습 경험을 선정.. 2022. 12. 1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