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누리과정에서 중시하는 '놀이'에 대한 분석

by crystalui 2022. 12. 17.

현재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 항목들과 놀이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제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 중심, 놀이 중심 교육과정'으로써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유아 교육을 받는 유아가 중심이 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지만, 유아만큼이나 '놀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표현하고 있는 슬로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누리과정을 집필한 연구자들이 놀이에 대해 아주 깊게 생각하고 그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관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가 배움이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원천이며, 그것이 곧 최고의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유아 나이대에서 배움이 일어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직접적인 주입식 강의가 아니라 그들 스스로 주도하며 놀이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이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놀이가 하루에 얼마나 이루어져야 하는지까지 최소한의 시간을 지정해줍니다. 누리과정을 살펴보며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은 부분이었습니다. 바깥 놀이를 포함하여 최소 하루 2시간 이상의 놀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합니다. 여기서의 2시간은 아이가 인지적, 정의적, 신체적 발달을 하기 위하여 최소한으로 필요하게 되는 놀이 시간이라는 것, 그리고 그 2시간은 아이가 주도적으로 놀이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놀이의 중점사항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놀이와 관련해 세 가지의 중점사항을 언급합니다. 첫째로, 유아의 흥미, 관심에 따라 놀이에 자유롭게 참여하고 즐기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이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교육 내용을 구성하자는 것은 초등교육에서도 강조되는 사항입니다. 다양한 학자들이 아이의 흥미와 관심도에 따라 학습 효율과 양이 정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이 놀이를 진행할 때에도 아이의 흥미와 관심은 고려되어야 합니다. 둘째로, 놀이를 통해서 배움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누리과정 본문 전반에 걸쳐 계속해서 강조되는 내용입니다. 셋째로, 다양한 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실내, 실외의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활동에 있어 적절한 환경이 구성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는 가장 우선적으로 안전의 영역에서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가지고 놀이를 할 교구들과 장난감에도 포함되는 표현입니다. 

필수 영역을 포함한 놀이

누리과정에서 또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다양하게 배우게 하되, 5개의 영역 내용을 빼놓으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유아에게 필수적으로 배움이 요구되는 5개 영역이란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에 해당합니다. 이것들은 초등 교육에서 다루는 여러 과목들과 결국 맥을 같이 하는 영역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연탐구는 과학, 의사소통은 국어 등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다섯 가지 영역들은 유아의 놀이 활동에서 빠지면 안 될 요소이며, 바꿔 말하면, 유아들이 놀이 활동을 함으로써 이 영역들에 대한 자연스러운 배움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는 놀이의 효과에 대한 반증입니다.

마지막으로 유아에게 놀이는 삶 그 자체이며, 배움의 내용, 방식, 과정이 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세상과 관계를 맺고 수많은 궁금증을 생성하고 해결합니다. 유아의 생활과 자람은 놀이와 떼어 놓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교사는 놀이에 대한 중요성을 잘 인지하고서 아이에게 끊임없는 놀이로써의 배움이 일어나도록 옆에서 동행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