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현 유아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내실화 방안

by crystalui 2022. 12. 17.

현 유아교육 제도에서의 부족한 측면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내실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해 보았습니다.

시스템 부실

현재 유아교육은 학제 체제가 초등학교 체제에 비해 상당히 부실합니다. 필수교육으로써 탄탄히 체제가 잡혀 있는 초등학교는 모든 아이들이 다녀야 하는 만큼 입학통지서가 송부되고 지자체 차원에서 아이들의 입학을 관리하는 반면 유아교육은 아이에게 시키지 않는 가정도 많고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체제가 섞여 있어 같은 나이의 아이들이라도 그 교육을 받은 상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교육의 기본 학제 및 공교육 체제가 확립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부처는 여성가족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아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교육부와 무관하다고 보는 것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같이 현재 유아교육은 담당 부처가 흩어져 있어, 교육 실현, 교육과정 수립, 학생 관리 등 모든 사안에 있어서 비효율적으로 업무가 진행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하루가 달리 자라는 아이들을 교육하는 유아교육이라는 분야와 전혀 걸맞지 않은 행정 처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교육의 담당 부처 일원화가 꼭 필요합니다.

인력 관리

초등학교도 사립학교가 있지만 유아 교육에서는 사립 유치원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원과 행정 인력에 대한 투입이 중앙에서 관리되는 것보다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지자체 교육청에서 유아교육 행정 인력에 대한 중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시/도 교육청의 유아교육 행정 조직 및 인력의 확충 작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교육대학교에서만 육성되고 그 인원이 관리되는 초등교육과 달리 유아교육은 다양한 대학에 산발적으로 육성 기관이 흩어져 있고 더불어 학제에 대한 통일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대중들이 유아교육 교원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피교육자인 유아와 학부모에게도 신뢰를 주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초등교육처럼 유아교육도 일관되고 통일된 양성 체제가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교원 자격 및 양성체제를 개선해야만 합니다. 이는 유아교육학과 설치 대학의 능력 검증 및 지속적인 관리, 그리고 유아교육과 수 축소로써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유/초등 연계

유치원 교육과 초등교육의 통합 및 연계는 예전부터 그 중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현재 점점 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유아교육과와 초등교육과의 커리큘럼에는 유/초등의 연계과목 및 관련 사항이 부재합니다. 이로 인해 두 학과의 예비 교원들은 유/초등의 연계 교육 자체에 대해 필요성과 당위성을 느끼지 못하고 실제로 유치원을 졸업하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에 대한 연계 과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 유아교육과와 초등교육과의 커리큘럼에 유/초등 연계과목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