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아이폰15 드디어 C타입 단자 탑재?

by crystalui 2023. 4. 6.

 "아이폰 충전 돼요?"

 식당에서 가끔 충전기를 빌릴 때 많이 하시는 말씀이시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아이폰이 공존해서 가장 불편한 점이라고 한다면 단연 충전기 문제겠죠. 충전 단자가 달라서 불편함을 느낄 때가 한두번이 아닙니다. 저도 그렇고요. 그런데 이제 곧 모든 휴대폰의 충전 단자가 통일될 거라는 말이 들려옵니다.

 

C타입으로 통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몇몇 환경운동가들만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도 환경 오염과 친환경적 생산 및 기업 경영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추세입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은 자사의 제품들이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설계되었는지, 재료를 바꿈으로써 얼마나 탄소 배출을 줄이게 되었는지를 홍보하고는 하지요. 이런 움직임으로 인해 환경을 보호하고, 파괴를 막는 법안도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도 막 이용하다가는 회생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인식한 것이죠. 그로 인해 유럽 연합에서는 우리에게 아주 반가운 법안을 내놓았습니다. 바로, 새로 만들어지는 모든 휴대 전자기기의 충전 단자를 USB-C타입 단자로 통일하는 것에 대한 법안입니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내년인 2024년 가을까지 모든 전자기기 제조사는 휴대 전자기기를 생산할 때 충전 단자를 C타입으로만 제조해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태블릿 PC, 헤드셋,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스피커가 포함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아이폰도 꼼짝없이 포함되게 되는 것이지요. 유럽 연합에서는 이 법안에 잠정 합의했습니다. 드디어 양분되어 있던 충전기 종류가 하나로 통일되게 되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사용하는데, 불편하게도 아이폰은 8핀 단자, 아이패드는 C타입 단자가 탑재되어 있어서 충전기를 두 종류나 들고다녀야 했습니다. 이제는 그럴 일이 없겠군요.

 

애플의 반응은?

 유럽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포기할 수는 없고, 게다가 굳이 고집을 부리며 유럽과 타 지역의 단자를 다르게 생산해서 판매할 이유도 없습니다. 아이폰도 이젠 C타입 단자를 탑재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앞서 애플은 해당 법안이 처음 발의되었을 때, 이는 엄격한 규제이며 혁신을 저해할 것이고 곧 소비자의 불이익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며 굉장히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었습니다. 하지만 법안은 순조롭게 통과될 것으로 보이고 애플도 더이상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았습니다.

 

언제부터 C타입? 

 이제 중요한 것은 과연 언제부터, 어떤 기종부터 적용되는지가 관건이겠지요. 업계의 많은 관계자들은 아이폰15부터 탑재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별일이 없다면 올해에 공개될 신제품이지요. 저도 벌써부터 기대가 많이 됩니다. 실제로 저는 작년에 아이폰15부터 C타입이 탑재될 거라는 생각에 아이폰14를 구매하지 않았습니다. 아마 큰 이변이 없는 이상 올해엔 C타입 단자가 탑재된 아이폰을 만나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걱정되는 것이 또 하나 있습니다. 혹시 MFi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저는 예전에 애플워치 충전을 위해 추가적으로 애플이 아닌 회사에서 만든 충전기를 산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똑같이 생긴 충전기인데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더라구요. 찾아보니 소프트웨어적으로 애플 정품 충전기가 아니면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도록 애플에서 막아두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MFi는 Made For iPhone/iPad의 줄임말로, 애플의 인증을 받은 아이폰/아이패드용 악세사리라는 뜻입니다. 즉, 이 인증을 받지 않으면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가장 걱정되는 점이 바로 이것입니다. 같은 C타입 충전이긴 하지만 인증받지 않은 충전기로는 충전이 안 된다면...? 말을 아끼겠습니다.

 

 

 아이폰과 C타입 충전 단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에 발매될 아이폰 15가 정말 기대되는데요. 아마 그럴 일 없겠지만 충전기 인증 문제는 절대 없기를 바랍니다. 본글이 도움되셨다면 다른 글도 둘러봐주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